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행동심리학>인지발달이론(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by 심리 공부쟁이 2024. 1. 24.

인지발달이론의  연구동기 및 의의 발달의 4단계 이론의 적용 다른 이론과의 비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지발달이론은 심리학자이자 유전학자인 장 피아제(Jean Piaget, 1896~1980)의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행동심리학의 한 분야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인지과정(인지)과 행동(행동)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인지발달이론은 어린아이들이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통해 지식을 점차 발전시키는 과정을 체계화하였고 이를 네 단계의 발달 과정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이론

1. 인지발달이론의 연구동기 및 의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들의 지식 형성 과정과 성장과정에 따른 변화에 대해 검토하고 연구하였습니다. 피아제는 그의 직업적 배경과 개인적인 관심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의 초기 연구는 천재의 생각 과정에 대한 흥미로 시작되어 아동들의 지적 발달에 주목하게 되었고, 그들의 대답과 오류를 통해 아동들의 사고 과정을 파악하려는 시도로 이어졌습니다. 아동의 지능검사를 통해 피아제는 아동들이 틀린 답을 내는 패턴에서 일관성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그에게 아동들이 단순히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닌 그들만의 고유한 사고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지식을 형성한다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였습니다. 이는 그가 아동의 인지 발달에 대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시작하게 만든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피아제는 아동의 사고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자녀들을 관찰하는 방법을 채택하였고, 이를 통해 많은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2. 인지발달의 4단계

 

인지 발달론은 인간의 인지 발달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 중 하나로, 특히 장 피아제(Jean Piaget)가 제시한 이론이 유명합니다. 피아제는 인간의 인지 발달을 네 단계로 구분했는데, 각 단계는 특정한 연령대와 연관되어 있으며, 각기 다른 인지 능력을 발달시킨다고 보았어요.

감각운동기(Sensorimotor stage, 출생~2세): 이 시기의 아이들은 자신의 감각과 운동 능력을 통해 주변 세계를 경험합니다. 대표적인 발달 과제로는 '영구성 개념(Object Permanence)'이 있는데, 이는 사물이 시야에서 사라져도 계속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을 말해요.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2~7세): 이 단계의 아이들은 상징적 사고가 발달하기 시작하지만, 아직 논리적 사고나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때 아이들은 자기중심적 사고를 하며, 환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할 때가 많죠.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7~11세): 아이들은 물체를 분류하고 순서대로 나열하는 능력과 함께, 수, 양, 무게, 면적과 같은 구체적인 개념을 이해하게 됩니다. 이 시기에는 '보존 개념(Conservation)'을 이해하기 시작해요. 즉, 형태가 변하더라도 양이나 수가 동일하다는 것을 알게 되는 거죠.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11세 이상):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사고가 가능해지는 시기입니다. 이제 아이들은 가설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실험할 수 있게 되며, 추상적인 개념이나 문제에 대해서도 사고할 수 있게 됩니다.

 

 

3. 이론의 적용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은  특히 교육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습니다.  어린이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며 이를 교육과정 설계 및 교수법과 평가 방법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가능하게 발전되었습니다.

 

교육과정 설계: 피아제의 발달 단계 이론은 아동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교육 내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을 제공했습니다. 예를 들어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아동들에게는 실제 물체를 사용하여 수학적 개념을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간주됩니다.

교수법: 피아제는 아동들이 스스로 탐구하고 발견하는 과정에서 가장 잘 배운다고 봤습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통해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발견학습'이나 '문제중심학습'과 같은 교수법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평가 방법: 피아제의 이론은 아동이 어떤 단계에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평가 방법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평가는 단순히 지식의 정확성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아동의 사고 과정과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교육적 지원: 이 이론은 아동 개개인의 발달 수준에 맞춘 개별화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교육자들은 각 아동이 처한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그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촉진: 형식적 조작기에 접어든 아동들에게는 추상적인 사고와 가설 검증을 요구하는 활동이 중요합니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교육 과정을 구성하였습니다.

 

피아제의 이론은 교육자들이 아동의 인지적 발달을 이해하고, 각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아동이 같은 순서로 발달한다는 가정과 문화적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기 때문에, 오늘날 많은 교육자들은 피아제의 이론을 다른 이론과 결합하여 더 포괄적인 교육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4. 다른 이론들과의 비교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은 기존에는 없었던 관점을 제공하며 다른 이론과 비교할 때 몇 가지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레프 비고츠키(Vygotsky)와의 차이: 비고츠키는 사회문화적 이론을 통해 인지 발달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 맥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이 아동의 인지 발달을 형성하는 중요한 도구라고 보았죠. 이에 반해, 피아제는 개인의 자기중심적 탐구와 물리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인지 발달의 주요 원동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에릭 에릭슨(Erik Erikson)과의 차이: 에릭슨은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개인의 전 생애에 걸친 8단계를 통해 정체성과 성격 발달을 설명합니다. 각 단계에서 개인은 특정한 심리사회적 위기를 경험하고, 이를 해결함으로써 성장합니다. 피아제의 이론은 인지적 측면에 더 집중하고 있어, 에릭슨의 이론처럼 인간의 사회적, 정서적 측면을 깊이 다루지는 않습니다.

벤저민 블룸(Benjamin Bloom)과의 차이: 블룸은 교육 목표 분류학, 즉 블룸의 분류학을 개발하여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을 구분했습니다. 이는 교육 목표를 구체화하고, 학습자의 여러 측면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피아제의 이론은 주로 인지적 발달에 초점을 맞추며, 블룸이 제안한 다양한 영역의 발달을 상세히 다루지 않습니다.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와의 차이: 콜버그는 도덕 발달 이론을 통해 도덕적 사고의 발달 단계를 제안했습니다. 이 이론은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콜버그는 특히 도덕적 추론과 그 발달 과정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피아제는 인지 발달의 일반적인 과정에 더 관심을 가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