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방어기제 반동 회상방어 합리화 분열

by 심리 공부쟁이 2024. 2. 2.

방어기제 (Defence mechanism)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선 방어기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방어기제의 종류인 반동과 회상방어 합리화와 분열에 대해 각각 이해해 봅니다. 그리고 무의식적인 나의 방어기제를 알아차릴 수 있는 방법 또한 생각해 봅니다.

방어기제 중에 회상방어에 대한 그림
방어기제 중에 회상방어에 대한 그림

 

1. 방어기재(Defence mechanism)의 정의

우리는 내면에 다양한 감정을 가지고 살아기고 있습니다. 그런 다양한 감정들 중에서 때때로 우리는 고통스러운 감정을 겪을 때 그것을 직면하기보다는 회피하고 싶어 합니다. 이것이 바로 '방어기제 (defence mechanism) '입니다. 방어기제는 시그문드 프로이트(Sigmund Freud)가 제시한 심리학의 개념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내면의 감정적인 충돌이나 불편한 감정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정신적 전략을 말합니다. 방어기제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일부만 살펴봅니다.

 

2. 반동(Reaction Formation)

반동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방어기제 중 하나입니다. 자신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이나 욕구를 그 반대의 감정이나 행동으로 바꾸어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어기제 역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때론 본인조차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진심으로 싫어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나 그 싫어함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가 어려울 경우에 우리는 이 사람은 본인이 싫어하는 사람에게 과도하게 친절하게 행동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불편한 감정을 숨긴 채로 그 반대 감정을 과도하게 표현함으로써 내면의 충돌을 해결하려는 무의식적인 시도입니다.

 

이러한 반동의 기제가 사회생활에 있어 필요한 기재이긴 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볼때 자기의 감정을 억제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를 인식하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 치료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올바른 표현방법을 배우는 것이 이러한 방어기제를 건강하게 다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회상 방어(Repression)

회상 방어는 우리가 겪었던 불편하거나 불쾌한 사건 혹은 그때의 감정 이나 욕구를 무의식적으로 잊어버리게 하는 방어기제를 말합니다. 이는 사람이 곤란한 상황이나 기억하고 싶지 않은 사건으로부터의 참기 힘든 기억 즉 트라우마를 겪을 때, 그로 인한 스트레스나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어린 시절에 불행한 사건을 겪었다고 생각해봅시다. 사람들은 그 불행한 사건을 기억하지 않고 싶어 하며 이런 나의 욕구대로 나의 마음을 이끄는 것이 회상 방어의 한 예입니다. 즉 그 사람은 그 사건에 대한 기억을 완전히 잃거나 또는 그 사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기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무의식적인 방법들을 통해 잠시 동안 우리를 보호하고 힘든 감정을 처리합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안정을 찾아주기도 합니다.

 

궁극적으로 보면 심리적으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문제의 해결이 아닌 회피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회상 방어로 잊혀진 트라우마는 갑작스러운 기억의 복귀나 심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상 방어된 기억과 그로 인한 감정을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치료를 통해 안전한 환경에서 이러한 기억을 다루고 그로 인한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회상 방어는 복잡한 심리학적 개념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처함이 힘든 감정을 관리하고 정서적 안정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합리화(Rationalization)

합리화 (Rationalization)도 심리학에서 말하는 방어기제 중 하나입니다.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 감정에 대해 합리적이고 수용 가능한 이유를 찾아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우리가 어떤 실패나 실수를 저질렀을 때 그것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황에서 합리화, 자기 합리화가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봅니다. 시험에서 성적이 나쁘게 나온 학생이 공부한 내용이 시험에 나오지 않았다라며 자신의 실패를 합리화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또는 어떤 사람이 원하는 직장에 뽑히지 못했을 때 그 회사는 원래 내가 원하는 분위기가 아니었다라고 합리화하는 것도 비슷한 예시입니다.

 

이런 합리화는 결과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과도한 합리화는 실제 맞닥들인 문제를 무시하고 그 문제의 해결을 미루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이해하고 필요할 때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을 정확하게 직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합리화를 이해하는 것은 자신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분열(Dissociation)

사람이 살아가면서 매우 불편하거나 불쾌한 사건이나 감정을 맞닥뜨리게 됩니다. 이런 경우 불편한 상황이나 감정을 다른 부분으로 분리시켜 당사자로 하여금 인식하지 않게 하는 방어기제를 말합니다. 이는 특히 심각한 트라우마나 스트레스를 겪은 사람들에게 자주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분열이라는 것은 일상적인 행동과 기억 감정 인식 등을 서로 연결되지 않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사람은 특정 사건이나 감정을 또 다른 나의 일처럼 느끼게 하거나 현실에서 분리된 듯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분열의 예를 들어봅시다. 심각한 사고를 겪은 사람이 그 사건에 대한 기억을 잃거나 혹은 그 사건이 자신에게서 일어난 것이 아닌 것처럼 느끼는 경우가 분열의 방어기제가 작용한 것입니다. 또는 전쟁이나 폭력 등의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이 실제로 자신에게 일어난 것이 아니라고 느끼는 것도 분열로 볼 수 있습니다.

 

분열은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아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분열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관리는 심리학적 치료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분열을 겪는 사람들은 심리치료를 통해 안전한 환경에서 그들의 트라우마를 이해하고 그로 인한 감정을 처리하는 데 도움을 받습니다. 분열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정서적 안정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6. 무의식적인 방어기제 인식방법

 

위에서 제시한 몇 가지의 방어기제들은 기본적으로 나를 보호 가기 위해 나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작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어기제에만 의지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정신적인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방어기제를 알아차리고 적극적으로 치유해야 합니다. 무의식적으로 사용되는 방어기제를 알아차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자신의 반응에 주목하기: 감정 행동 생각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그것이 일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는지 혹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지 주의 깊게 살펴봅니다.

자신의 패턴 인식하기: 비슷한 상황에서 자주 반복되는 행동이나 감정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런 반복들이 방어기제의 일종일 수 있습니다.

타인의 피드백받기: 가까운 사람들에게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합니다. 외부 관찰자는 우리가 간과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것들을 보다 객관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심리학적 도움 받기: 심리 치료사나 상담사는 전문가로서 당신이 방어기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그들은 당신의 이야기를 듣고 당신이 겪고 있는 문제나 감정을 분석하합니다. 그러고 나서 당신에게 방어기제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자신의 방어기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은 스트레스 관리와 정서적 안정을 찾는 데 중요합니다. 우리는 모두가 심리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러한 방어기제를 무의식적으로 사용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건강한 정신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해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방어기제가 과도하게 사용될 때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그리고 개인의 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자신의 방어기제를 이해하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지각이론(Self-perception Theory)  (0) 2024.02.06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0) 2024.02.05
자아 초자아  (1) 2024.02.01
무의식(無意識 unconsciousness)  (1) 2024.01.31
성격심리학 성격과 행복의 관계  (0) 2024.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