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설단 현상(tip of the tongue)

by 심리 공부쟁이 2024. 2. 15.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The Principles of Psychology"에서 설단 현상(舌端現象, tip of the tongue)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설단 현상은 우리가 알고 있는 정보나 단서가 우리의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음에도 필요한 순간에 그 단어를  떠올리지 못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아는 것과 기억하는 것 사이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설단현상을 설명합니다.

설단 현상(舌端現象, tip of the tongue)
설단 현상(舌端現象, tip of the tongue)

1. 설단현상

일상에서 흔히 경험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어떤 사람 장소의 이름이나 혹은 알고 있는 단어 등을 이야기할 때 갑자기 막혀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때 우리는 그 단어에 대해 완전히 모르는 것이 아닙니다. 기억하고자 하는 단어와 관련한 일부 정보나 힌트를 기억 속에 가지고 있음에도 정확한 단어를 떠올리지 못하고 있을 뿐인 것입니다. 이런 답답한 수간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 순간을 제임스는 설단 현상이라 명명하며 기억과 연관된 현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우리의 기억은 네트워크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한 가지 정보가 다른 정보와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설단 현상은 이 네트워크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는 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하여 필요한 순간에 적절한 단어를 떠올리지 못하는 것으로 봅니다. 즉 우리가 어떤 단어를 떠올리려고 할 때  관련 다른 단어나 정보에 접근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2. 설단현상을 설명하는 현대의 심리학이론


설단 현상은 심리학 분야에서 다양한 이론과 관점을 통해 분석되고 설명됩니다. 이 현상에 대한 이해는 심리학적 이론의 다양성을 보여주며 그중 세 가지 주요 이론을 통해 설단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첫째 연결주의는 기억을 네트워크로 구성된 정보들의 연결로 이해하는 이론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설단 현상은 기억 네트워크에서 특정 정보를 찾는 과정에서 연결이 약해지거나 차단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우리가 기억하려는 정보와 그 정보에 연결된 다른 정보들 사이의 연결이 약하거나 차단되면 그 정보를 떠올리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둘째 접근-검색 이론은 설단 현상을 두 단계 즉 접근 단계와 검색 단계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접근 단계에서는 일부 정보나 힌트를 통해 기억에 접근하려고 하지만 검색 단계에서는 해당 정보를 정확하게 찾아내지 못하는 상황을 지칭합니다. 이 이론은 접근 단계에서의 약점이나 문제가 검색 단계에서의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관점으로 설단 현상을 해석합니다.
셋째 상호활성화 모델은 정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기억 네트워크를 가정하며 이를 통해 설단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관련 정보나 단어들이 상호활성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쟁이나 간섭으로 인해 설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한 정보가 활성화되면서 다른 정보의 활성화를 억제하게 되어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떠올리지 못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심리학적 이론을 통해 설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면서 우리는 기억 정보 처리 인지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설단 현상은 아직도 연구가 진행 중인 주제로 이를 완벽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나 모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설단 현상을 완전히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학문적 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3. 접근검색이론


접근검색 이론은 설단 현상을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 중 하나입니다. 이 이론은 우리가 기억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을 때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접근검색 이론은 우리의 기억에는 많은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만, 우리가 특정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에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주어진 상황이나 힌트를 활용하여 기억 속에서 관련된 정보에 접근하려고 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의 기억은 연상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특정 정보를 떠올리기 위해서는 관련된 정보들을 따라가며 연상을 하면서 목표로 하는 정보에 접근합니다.
접근검색 이론은 두 가지 주요한 요소를 강조합니다. 첫째, 관련된 정보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은 연상을 통해 탐색할 수 있습니다. 둘째, 접근 검색은 주어진 상황이나 힌트에 따라 진행되며, 이러한 상황과 힌트는 우리가 어떤 정보에 접근할지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접근검색 이론은 설단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설단 현상은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이나 방해로 이해됩니다. 이 이론은 우리의 기억과 정보 처리 방식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론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합니다.


4. 연결주의이론

연결주의 이론은 설단현상을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 중 하나입니다. 이 이론은 기억이 네트워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들이 상호작용하고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연결주의 이론은 기억을 특정한 개념이나 정보를 나타내는 각 노드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런 노드들이 상호 연결되고 네트워크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런 각 각의  노드는 각 각 의미를 가지는 단위입니다. 특정한 개념이나 정보를 나타내며 이러한 노드들은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상호작용하며 정보를 주고받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설단 현상은 연결주의 이론에서 설명할 때 우리가 목표로 하는 정보나 개념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이 연결이 약화되거나 차단되는 것으로 바라봅니다. 우리가 특정 단어나 개념을 떠올리려고 하는 경우에  관련된 노드들이 연결되어있지 않거나 혹은 그 연결이 어떠한 이유들로 인해 약해지면 설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상황이 바로 우리가 원하는 목표 정보를 찾기 위한 노드간의 연결이 어려워지거나 방해를 봅니다.

연결주의 이론은 설단 현상을 기억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바라봅니다. 우리의 기억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각 정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잘 설명해줍니다.하지만 연결주의 이론 역시 설단 현상을 완전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합니다.


5. 상호활성화모델


상호활성화모델은 심리학 이론 중 하나로 설단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이론은 기억 속의 정보들이 상호작용하고 상호활성화되는 과정을 통해 설단현상이 발생한다고 설명합니다.
상호활성화모델은 정보들이 연결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 네트워크에는 연관된 정보들이 함께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관된 정보들은 상호작용하며 상호활성화됩니다. 예를 들어 교실라는 정보와 학교라는 정보는 연관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연관된 정보들은 함께 활성화되는 경향이 있다고 이론은 주장합니다.우리가 특정 정보를 떠올리려고 할 때 관련된 정보들이 상호작용하며 상호활성화됩니다. 학교라는 정보를 떠올리면 책 친구 선생님 교실 같은 관련된 정보들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어진 상황과 힌트가 설단 현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주어진 상황이나 힌트는 특정 정보를 떠올리는 데에 도움을 주며 상호활성화되는 정보들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위에 제시한 이론들은 모두 설단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우리가 기억 속에서 정보를 탐색하고 떠올리는 과정을 설명하여 설단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이론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실험이 필요할 것입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진 유리창 이론( broken windows theory)  (0) 2024.02.19
칵테일파티효과  (0) 2024.02.16
서열 위치 효과(serial-position effect)  (0) 2024.02.14
관계수준이론  (0) 2024.02.13
욕망충족이론  (0) 2024.02.10